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4)
[공통화 관리] Log Table을 이용한 Job 관리 수행 Job과 공통화된 로그작업 Job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innoQuartz에서 사용하는 Context 변수를 이용하여 Child Job에 변수를 전달한다 (본 수행 Job 및 Child Job 동일 Context 선언) 아래와 같이 tRunJob에 'Transmit whole context' 옵션을 선택하면 Child Job에서 동일한 context변수에 값이 전달된다. in/out component에서 추출된 Data의 건수나, Load시 Data건수를 취득 하는 방법은 OutLine에 보여지는 목록에서 해당 component를 누르면 Data건수로 제공되는 변수를 확인 할 수 있다. Job 수행 후, ETL log Table에 정상적으로 적재된 결과 입니다.
[직장인밴드](feat. SIS) 15년? 10년이 넘었네.. 이렇게 모여서 합주실에 들어가본게.. 언제야.??? .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10년은 넘었듯.. 싶은데... (싸이월드가 복구되서 막내가 보내준 사진으로 확인해 보니... 14년이나 지났군... ㅎㅎㅎㅎ) ↑ 이후, 14년 후~ 10년이라는 시간.. 참 길다고 생각됐는데.. 지나고 나니.. 참 짧아~~ ㅎㅎ 간만에 모여서 합주는 커녕~ 각자 인생사 이야기만 하고 하다 끝날줄 알았는지만.... 합주가 되긴 하네.~~~~~~~~~~~ ㅎㅎ 코로나로 다시 모일 날은 기약 없지만, 팬데믹 상황에서 엔데믹으로 바뀌면.. 자주자주 모일 수 있겠지.??? 건강하게.. (나이들면 건강이 일단 최고니까!!!) 다음번 모임을 기약 하자고~ 오랜 만에 모여 반가웠구, 시간이 조금 지난 사진들 이지만, 이제야 Blog에 기..
Job 초기 작성시, 표준안 Job 생성시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처리순서 : 선행 → 본처리 → 후행 → 예외처리)를 기준으로 만든다 1. 선행 처리 부분 tPreJob Conponent를 사용하며, 서버연계를 위해 qPre component나, 본 처리를 위한 dbConnection component 및 환경설정을 주로 선언한다 2. 본 수행 부분 실제 수행한 Main 내용을 기술하는 부분으로 tPreJob component에 연결된 선행처리 부분 처리 후, 수행 된다. 3. 후행 처리부분 tPostJob component를 사용하며, 서버와 연계하여 bizDate(수행 기준일자)를 저장하기 위해 qPost component나 트랜잭션 처리를 했다면, tDBClose component 및 종료시 필요한 로그 내용을 선언한다 4. ..
2021년 7월 27일자 코로나 발생현황 ETL솔루션(이노쿼츠)으로 만든 Data를 수집 Dash보드(그라파나)를 간만에 들어가 보았다. 처음 발생한 작년 3월(1차), 2차는 작년 8월말~9월, 올해로 넘어오면서 3차(2020년 12월 ~ 2021년 1월)를 지나면서 조금씩 늘어 코로나 4차 유행이 1000명대를 3주간 유지되고 있다. 언제쯤 끝날 수 있을까.? 독감 처럼 매년 예방 주사를 맞아야 할 듯 싶다.. ㅡ.ㅜ;;
[직장인밴드] (라떼는 말이야~) 나의 20대.. 직장인 밴드 예전에 직장인 밴드를 할때의 이야기이다. 매번 멤버들에서 나이 50~60이 되어, 머리가 희끗희끗해 질때까지 밴드를 하자고 하곤 했었다. 멤버들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다들 결혼하고, 생활전선에 투입되어 작전을 펼치고 있는 것이 언~ 10년이 넘어가고 있는 요즘 그때의 다짐이 생각나.. 끄적~끄적~ 해 보려 한다. 추억을 소환하려 했으나, 그때 이용하던 cyworld는 없어짐.... ㅡㅡ; 그럼 글로 끄적~ 끄적~ 20대에 우리는 거의 매주말 마다 모여 합주 연습을 했었다. 처음에는 직장에서 받았던 스트레스를 풀려고, 조금 합주가 되니, 공연도 욕심이 났었고, 비슷한 생각을 하는 친구들이 늘어나 직장인 밴드연합식의 동호회로 커지기도 했었다. 합주 연습할때는 일주일에 그날을 기다릴만큼 즐거웠고, 재미있었다...
2020/11/27 기준, 코로나(COVID19) 확진자 추이 8월(2차유행)만 해도.. 잠깐 반짝하고 증가했다가 잠잠해질 줄 알았더니만, 처음 유행했던 때(1차 유행)와 같은 수치를 이어 가고 있다. 평균 시도별 확진자 수를 통계내 보면, - 강원(2), 검역(9), 경기(25), 경남(2), 경북(4), 광주(2), 대구(14), 대전(2), 부산(2), 서울(30), 세종(0), 울산(1), 인천(5), 전남(1), 전북(1), 제주(0), 충남(3), 충북(1), 전체평균(104) 로 지난 9월과 비교 하면, - 강원(1→2), 검역(8→9), 경기(18→25), 경남(1→2), 경북(4→4), 광주(2→2), 대구(20→14), 대전(2→2), 부산(1→2), 서울(23→30), 세종(0→0), 울산(1→1), 인천(4→5), 전남(1→1), 전북(0→1)..
innoQuartz 실행을 위한 필요 설치 항목(실습 준비) 1. JVM 8이상 : InnoQuartz-Server/InnoQuartz-Designer 실행시 JDK 8이상의 버젼이 필요 JDK 8 다운로드 Link - https://www.oracle.com/kr/java/technologies/javase/javase-jdk8-downloads.html 위의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JDK를 다운로드 받는다. (OpenJDK로 다운로드는 https://jdk.java.net/java-se-ri/8-MR3에서 다운로드 가능) 2. MariaDB (테스트용) 설치 Download Link - https://mariadb.org/download/ 사용자 정보 : 계정(root / innoquartz), schema(edu_quartz) Check -> Enable a..
TDD - JUnit assert(단언) JUnit에서 assert는 테스트에 넣을 수 있는 정적 메소드 호출이다. 각 assert구문은 어떤 조건이 참인지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assertTrue : 가장 기본적인 assert구분이다. 더보기 assertTrue(100 > 90); ... or ... assertTrue("false.....", 100 > 90); assertFalse : assertTrue와 반대 개념으로 false인지를 비교한다. assertThat : 명확한 값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한다. 대부분 assert구문은 기대하는 값과 실제 값을 비교한다 더보기 assertThat(100, equalTo(100)); .. or .. assertThat(100 > 90, is(true)); // 100이 90보다 큰 값이 맞는지(참..